요한복음 13장 1~11절
생명의 삶 큐티
요한복음 13장 1~11절
유월절 전에 예수님께서는 이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가실 때가 됐다는 것을 알고 계셨다. 예수님께서는 세상에 있는 자기의 사람들을 사랑하시되 끝까지 사랑하셨다. 저녁 식사를 하는 동안 마귀는 이미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속에 예수님을 배반할 생각을 넣었다.
예수님은 이제 이 세상을 떠날 때가 가까워졌음을 아셨다. 곧 십자가의 사역이 시작되는 것이다. 예수님은 자기의 얼마 남지 않은 시간을 제자들을 위해 사용하셨다. 그러나 예수님의 사랑은 보답은커녕 반대와 배반에 부딪친다. 유대인을 향한 사랑도, 제자들은 사랑조차도 그 안에 가룟 유다의 배신이 있었다. 저녁 먹는 이 날은 공관복음에 따르면 유월절 저녁 만찬이다.
예수님께서는 아버지께서 모든 것을 자기 손에 주셨으며 자신이 하나님께로부터 왔다가 하나님께로 돌아갈 것을 아시고 식탁에서 일어나 겉옷을 벗고 허리에 수건을 두르셨다. 그러고 나서 대야에 물을 담아다가 제자들의 발을 씻기시고 허리에 두른 수건으로 닦아 주셨다.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셨다.
이것은 종의 모습이었다. 예수님께서는 종의 모습이 되어 제자들의 발을 씻겨주신 것이다. 이는 제자들을 사랑하는 모습이며 동시에 제자들에게 겸손을 가르치신 것이다. 그렇게 다른 사람을 섬겨주는 본을 보이셨다. 십자가의 사역은 모든 사람들을 섬겨주신 사건의 극치다. 우리도 역시 주님의 제자라면, 그렇게 사랑하는 일에 우리의 모든 삶을 드려야 할 것이다.
예수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다가가셨다. 그러자 베드로는 “주여, 제 발도 씻겨 주려 하십니까?” 하고 말했다. 예수님께서 대답하셨다. “너는 내가 하는 일을 이해하지 못하는구나. 그러나 나중에는 알게 될 것이다.”
발을 씻겨주시는 것은 또한 예수님께서 죄를 사하시는 것을 나타내신 것이다.
베드로가 말했다. “제 발은 절대로 씻기지 못하십니다.” 예수께서 베드로에게 대답하셨습니다. “내가 너를 씻겨 주지 않으면 너는 나와 아무 상관이 없다.”
베드로는 단순히 송구스러운 마음으로 말했을 것이지만, 죄를 사함 받지 못하면 구원받지 못한 것이고, 예수님과 아무 상관없는 사람이 되는 것이다.
시몬 베드로가 예수께 대답했다. “그렇다면 주여, 제 발뿐 아니라 손과 머리도 씻겨 주십시오.”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말씀하셨다. “이미 목욕한 사람은 온몸이 깨끗하기 때문에 발밖에는 씻을 필요가 없다. 너희는 깨끗하지만 너희 모두가 다 깨끗한 것은 아니다.”
이 말씀은 마치 구원받은 자들은, 발을 씻는 회개의 생활을 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것 같다. 그런데 그렇다면 왜 예수님께서 발을 씻겨주셔야 하는 가? 그냥 자신이 자기의 발을 씻으면 안 되는 걸까? 이것은 우리의 회개가 모두 예수님의 피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임을 알려주시는 것이다. 단순히 회개의 삶을 사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우리의 죄는 항상 주님의 공로로만 가능하다는 것이다. 우리의 기도는 주님의 은혜를 구하는 것에 불과하고 주님께서는 그 십자가의 고통으로 우리의 죄를 해결해 주신다. 이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예수님께서는 누가 자신을 배반할지 알고 계셨기 때문에 “너희 모두가 다 깨끗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 사랑의 현장에서 벗어난 한 사람이 있었다. 단 12명 가운데에서 한 사람, 가룟 유다는 그런 예수님의 사랑을 받지 못했다. 스스로 세상을 택하여 예수님을 배반한 것이다. 이것은 예수님의 사랑으로 모든 사람이 구원받지 못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예수님께서는 이 땅에 사랑하기 위해 오셔서 끝까지 사랑하셨다. 그 여정의 마지막 즈음에 제자들의 발을 씻어주셨다. 겸손한 모습으로, 종의 모습으로 다른 사람을 섬겨줄 것을 본으로 보여주신 것이다.
또한 주님께서 우리의 죄를 씻어주실 것을 알려주셨다. 그 누구도 해결할 수 없었던 죄 문제를 깨끗하게 해결해 주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예수님의 십자가로만 가능한 일이다. 약간의 수고가 아닌 주님의 피 흘리심인 것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그 예수님의 겸손하심과 죄 씻어주심을 기억할 때 우리는 예수님의 그 길을 따라갈 수 있다. 특히 그 사랑에는 항상 반대자들과 배신자들이 있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따라서 우리의 사랑도 보답받지 못하고, 원수로 갚는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때는 실망하고 슬퍼할 것이 아니라 예수님의 본을 기억하며 더 예수님께 감사해야 할 때임을 알아야 한다. 한편으로는 그런 경험이 우리가 예수님을 잘 따라가고 있음을 확인해 주는 것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