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수기

민수기 13장 25~33절

예주아부지 2025. 4. 13. 07:00

생명의 삶 큐티
민수기 13장 25~33절

25 그들은 40일 동안 그 땅을 살펴보는 일을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가나안 땅의 최북단부터 최남단까지의 거리는 약 160 km로 성인 남자라면 일주일정도에 충분히 갔다 올 수 있다. 따라서 40일이란 기간 동안 살펴봤다는 것은 충분히 가나안 땅을 정탐했음을 알 수 있다.

26 그들이 바란 광야의 가데스에 있는 모세와 아론과 이스라엘의 온 회중에게로 돌아왔습니다. 거기서 그들은 모세와 아론과 온 회중에게 보고했고 그 땅의 열매를 보여 주었습니다.

정탐임무를 무사히 마친 그들은 자신들이 본 내용들을 잘 전달하고 그 증거인 열매들도 보여줬다.

27 그들은 모세에게 이렇게 보고했습니다. “당신께서 우리를 보내신 그 땅에 우리가 들어갔는데 그곳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입니다! 여기 거기서 나는 열매가 있습니다.
28 그런데 거기 사는 사람들은 힘이 세고 그 성들은 튼튼한 데다 엄청나게 큽니다. 게다가 거기서 아낙 자손들을 보았습니다.
29 네게브 지방에는 아말렉 사람들이 살고 있고 헷 사람들과 여부스 사람들과 아모리 사람들은 산지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가나안 사람들은 바닷가와 요단 강을 따라 살고 있습니다.”

약속의 땅은 풍요롭고 비옥한 땅이었다. 그러나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군사력이 만만치 않았다. 개개인은 물론 곳곳에 크고 단단한 성들이 존재했다. 이는 사실이며 당연한 것이다. 좋은 땅을 차지하고 있는 사람들이 약할 리가 없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약속은 무엇인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어떻게 싸워서 차지할 것인가? 노예로 태어나 자라온 이스라엘 백성은 이제야 겨우 독립적인 신생국가가 되었는데, 오랫동안 좋은 땅을 차지하고 유지해 온 나라들과 싸우라니, 어떻게 해야 하는가?

30 그때 갈렙이 모세 앞에서 백성들을 진정시키면서 말했습니다. “우리가 올라가 그 땅을 점령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우리는 분명히 할 수 있습니다.”

백성들은 정탐꾼들의 의견으로 충격을 받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때 갈렙이 백성들을 진정시키며 말한다. “우리가 올라가서 그 땅을 점령합시다. 분명히 가능합니다!” 여기서 하나님의 약속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하나님의 약속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을 주시겠다’는 것이다. 그 땅을 차지하라는 명령이다.

신앙과 불신앙이 여기서 갈리는 것이다. 핵심은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알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명령을 내리신 하나님이 어떤 분이신가? 가나안 땅은 물론 이스라엘 백성들도 모두 다 알고 계시고, 또 전능하신 하나님이시지 않으신가? 갈렙에게 가나안 족속들이 강한 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았다. 오히려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무슨 상관인가? 어찌 하나님의 능력과 비교할 것인가? 하나님께서 보증하신 약속이 있는데, 무엇이 문제인가?

(여호수아의 의견이 나오지 않는 것은, 아무래도 여호수아는 모세의 측근으로 중립적인 위치를 고수했기 때문인 것 같다. 물론 그럼에도 여호수아는 갈렙과 같은 의견이었고, 갈렙이 나서지 않았다면 여호수아가 나섰을 것이다.)

31 그러나 그와 함께 올라갔던 사람들이 말했습니다. “우리가 그 사람들에게 올라가서는 안 됩니다. 그들은 우리보다 훨씬 더 강합니다.”
32 그러고는 그들이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자신들이 살펴보고 온 땅에 관해 좋지 못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우리가 살펴보고 온 그 땅은 거기 사는 사람들을 잡아먹는 땅입니다. 우리가 거기서 본 사람들은 모두 신장이 컸습니다.
33 우리가 거기서 네피림, 곧 네피림에게서 나온 아낙 자손들을 보았습니다. 우리 눈에도 우리가 메뚜기처럼 보였으니 그들 눈에도 마찬가지였을 것입니다.”

열 명의 정탐꾼은 팩트로 이야기한다. 사실을 기반으로 한 평가다. 정직한 의견이고 솔직하고 정당한 평가다. 자신들은 이런 일을 위해 정탐하고 온 것이 아닌가? 그러나 이 차이가 바로 세상 사람과 믿는 사람의 차이임을 알아야 한다. 요즘에는 하나님을 세상의 상식과 세상의 선으로 제한하는 사람들이 많다. 믿는다고 하면서도, 하나님을 세상의 상식 안에 두는 것이다. 자신이 판단할 때 선한 일이면 하나님의 뜻이고, 상식과 팩트에 벗어나면 그것은 뭔가 잘못 됐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열 명의 정탐꾼은 마치 하나님의 약속이 잘못된 것처럼 보고했다. 하나님의 약속이 진짜였다면, 아주 비실비실한 애들이 그 땅에 있어야 했다는 것이다. 그래야 들어가서 쉽게, 아무 문제 없이 그 땅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약속을 너무 쉽게 생각했다. 하나님만 믿고 따르면, 모든 인생이 쉬워진다고 생각한 것이다. 무조건 승리할 것이라는 약속이, 마치 운동경기에서 약한 팀들만 붙여주는 승리조작 같은 일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나님의 악속은 그런 것이 아니다. 아무리 강한 적들도 이길 수 있도록 우리를 강하게 하시는 분이시다. 세상의 현실을 뛰어넘는 것이 신앙이다. 나를 보지 않고 하나님을 바라보는 것이 믿음이다. 하나님의 약속이란, 상황과 조건으로 검증하는 것이 아니라 믿고 순종하여 따르는 것이다.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 14장 11~25절  (0) 2025.04.22
민수기 14장 1~10절  (0) 2025.04.21
민수기 13장 1~24절  (4) 2025.04.12
민수기 12장 9~16절  (2) 2025.04.11
민수기 12장 1~8절  (1)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