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삶 큐티
민수기 15장 22~31절
22 “만약 너희가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주신 이 명령들을 실수로 지키지 못한 일이 있다면
이는 고의적인 죄(30절)가 아닌 실수로 인한 죄(혹은 소극적인 죄)에 대한 대책이다.
23 만약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날부터 너희 대대로 후세에게 이르기까지 여호와께서 모세를 통해 너희에게 명령하신 것들 가운데 하나라도 지키지 못한 일이 있다면
이런 속죄에 대한 말씀은, 대대로 후세에게 이르기까지 완벽하게 하나님의 법을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 이것은 인간의 어쩔 수 없는 부족함을 말씀하심과 동시에, 이런 율법이 아닌 다른 것으로 인간을 의롭게 하실 다른 방법이 제시될 것이라는 가능성을 시사한다(율법으로 의롭게 될 수 없기에 예수님께서 오신 것이다.)
24 만약 회중이 알지 못하는 가운데 이런 일이 일어났다면 온 회중은 법도를 따라 수송아지 한 마리를 번제로 여호와께서 즐겨하시는 향기가 되게 드려야 하며 또한 곡식제물과 전제물을 드려야 하며 어린 숫염소 한 마리를 속죄제물로 드려야 한다.
25 제사장이 온 이스라엘 회중을 위해 속죄하면 그들이 용서받을 것이다. 이는 그들이 자신들이 실수로 한 일에 대해 예물을 여호와께 화제로 드리고 또한 속죄제물을 여호와 앞에 드렸기 때문이다.
26 모든 백성이 실수로 한 것이므로 이스라엘 자손의 온 회중과 그 가운데 사는 이방 사람들도 용서받게 될 것이다.
전체 회중의 죄나 제사장의 죄를 가장 심각하게 다뤘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숫염소와 수송아지를 드린 것으로 알 수 있는데, 수송아지는 번제용이고 숫염소는 속죄제용이다. 속제제를 먼저 드려 죄를 용서받고 번제를 드렸을 것이다(레 4:13~5:13). 레위기에서는 속죄제에 대한 이야기만 나오는데, 번제와 소제, 전제를 드린 것은 정확한 뜻은 알 수 없으나, 율법의 기본 정신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상황에 따라) 보충, 확대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 자손과 이방 사람들도 함께 회중에 있었기 때문에 당연히 그 죄의 영향아래 있었고, 또한 함께 해결될 수 있었다. 이처럼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은 한 민족에 국한되지 않고 전 인류를 대상으로 열려 있었음은 구약 성경 곳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27 그러나 만약 한 사람이 실수로 죄를 지었을 경우에는 그 사람은 1년 된 암염소를 속죄제물로 드려야 한다.
28 제사장이 실수로 죄를 짓게 된 그 사람의 죄를 속죄해 주면 그는 용서받게 될 것이다.
29 이스라엘 자손인 본토 사람이든지 이방 사람이든지 상관없이 실수로 죄를 지은 사람에게는 모두 한 가지 율법이 적용된다.
개인은 속죄제에 보다 작은 제물은 드리게 되는데, 이는 개인적인 경제 상황을 고려했기 때문이다(레 14:27~5:13). 이것은 각각의 형편을 살피시는 하나님의 은혜를 알 수 있고, 또한 그 어떤 형편에도 불구하고 속죄제를 반드시 드려야 한다는 것도 말씀하시는 것이다. 아무리 작은 죄도 반드시 속죄해야 하며, 피흘림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도 이방 사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데, 이 이방 사람들은 할례를 받고 이스라엘 공동체 일원으로 편입된 사람들로 동일하게 율법의 의무와 권리가 적용되었다.
30 그러나 이스라엘 사람이든 이방 사람이든 고의적으로 죄를 짓는 사람은 여호와를 모독하는 것이니 그런 사람은 그 백성들 가운데서 끊어져야 할 것이다.
31 그는 여호와의 말씀을 업신여기고 그의 명령을 어겼으니 그런 사람은 반드시 끊어져야 한다. 그 죄가 그에게 있을 것이다.’”
고의적으로, 공개적으로 하나님을 반대하고 모독하는 자에게는 하나님의 백성에서 끊어지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여기서는 쫓겨난다는 뜻이 아니라 죽음을 말한다). 하나님을 고의적으로 반대하는 사람은 당연히 하나님의 은혜를 받을 수 없다.
하나님께서 구원하실 수 없는 사람이 바로 하나님을 거부하는 사람이다. 이는 성령훼방죄, 사망에 이르는 죄, 용서받을 수 없는 죄 등으로 신약 성경에서 다루고 있다.
죄가 없는 완벽한 사람은 없다. 이는 원죄에 대한 이야기를 떠나서도, 모든 사람이 자범죄를 짓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법이 있어도 그 법을 완벽히 지킬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 본문에서 하나님께서 죄를 다루는 방법을 말씀하셨다.
죄를 해결하는 방법은, 첫째 죄를 고백하고 회개하고 것이며, 둘한 피흘림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죄의 값은 ‘죽음’이다. 죄 없는 예수님의 피로만 가능하다. 이렇게 하나님의 은혜가 없이는 그 누구도 죄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공로는 하나도 없고, 온전히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받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죄는 하나님만 해결하실 수 있다. 죄는 결국 하나님께 가져가야 한다. 흔히 사람들은 ‘자신의 지분이 있는 죄’가 있다고 생각한다. 누군가 나에게 피해를 입혔다면, 그 죄에 대해서는 마치 내가 용서할 권한이 있는 것처럼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나의 모든 것은 하나님의 것이기에 용서하심도 하나님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또한 죄인된 나로서는 그 누구도 용서할 자격이 없음도 잊지 말아야 한다.
(죄 자체가 하나님의 뜻을 벗어난 것이다. 죄의 결과를 죄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수기 16장 1~16절 (0) | 2025.04.28 |
---|---|
민수기 15장 32~41절 (0) | 2025.04.27 |
민수기 15장 1~21절 (4) | 2025.04.25 |
민수기 14장 39~45절 (0) | 2025.04.24 |
민수기 14장 26~38절 (0) | 2025.04.23 |